[머니투데이 오상헌, 심재현기자][투자자들 1550억 조기상환 청구 가능성,
자금난 우려 확산되자 "부메랑"]
벼랑 끝에 몰린 동양그룹의 생사가 사실상 이번주에 갈릴 전망이다. 30일 만기도래하는 1070억원 규모의 회사채와
CP(기업어음) 상환 여부가 첫 고비다.
동양그룹은 가능한 모든 방안을 찾고 있지만 현재로선 상환가능 여부가 불투명하다. 1차
고비를 넘겨도 다음달에만 4000억원에 육박하는 CP 만기가 기다리고 있다. 올해 만기가 도래하지는 않으나 최대 1550억원에 달하는 회사채
풋옵션(조기상환청구)도 복병으로 남아 있다. 한마디로 첩첩산중인 셈이다.
29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동양그룹은 30일까지 ㈜동양의
회사채 905억원과 주요 계열사가 발행한 165억원의 CP 등 모두 1070억원을 상환해야 한다. 지난주 65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해
차환하려는 계획이 틀어지면서 유동성 압박이 커졌다.
동양그룹은 거래가 마무리국면에 접어든 동양매직 매각대금(1200억원) 유입에
한 가닥 희망을 걸고 있다. 동양매직은 인수 우선협상대상자인 KTB프라이빗에쿼티(PE) 컨소시엄이 거래 종료를 위한 절차를 현재 진행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KTB PE와 동양매직의 기업결합을 사전 승인했다. 하지만 금융감독원에 펀드설립 등록신청을 완료하지 못한 상태다.
이날 등록신청이 이뤄지고 KTB PE가 인수대금을 납입하면 동양그룹은 한숨을 돌리게 된다.
문제는 KTB PE에 참여한
투자자(LP) 일부가 투자대금 납입을 미루고 있다는 점이다. IB업계 관계자는 "동양그룹 유동성 위기설이 확산되고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설까지
흘러나오면서 KTB PE 측이 말을 바꾸고 인수 절차 마무리와 최종 대금 납입을 미루고 있다"며 "동양그룹으로선 믿었던 도끼에 발목이 찍힌
셈"이라고 말했다.
동양그룹 관계자는 "차입금 상환을 위해 여기저기서 돈을 끌어모으고 있지만 한계가 있다"며 "현재로선 동양매직
매각대금이 30일까지 들어오는 게 최선"이라고 설명했다.
동양그룹이 당장 이번 위기를 넘기더라도 더 큰 난제가 기다리고 있다.
시장성 차입금 상환일정상 하나의 난관을 넘으면 또 다른 장애물이 기다리는 구조기 때문이다. ㈜동양과 동양시멘트, 동양레저, 동양인터내셔널 등
동양그룹 계열 4개사는 이번주부터 다음달까지 3830억원의 CP를 또 막아야 한다.
시장성 차입규모가 큰 동양레저와
동양인터내셔널의 경우 각각 542억원, 675억원 규모의 전자단기사채도 다음달에 별도로 갚아야 한다. 이처럼 올 연말까지 동양그룹이 상환해야
하는 회사채, CP, 전자단기사채는 모두 1조681억원에 달한다.
게다가 ㈜동양은 지난해 12월24일 발행한 65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다음달 24일 조기상환해야 하는 상황에도 직면했다.
'2.회사채 투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가격 "뚝", 액면가 1/3 아래로 (0) | 2013.09.30 |
---|---|
STX 이어 동양까지.."A"급 회사채 찬밥 우려 (0) | 2013.09.30 |
"동양사태 된서리?" 건설업계 5.7조 회사채 만기 "발동동" (0) | 2013.09.30 |
채권 기본사항 및 주요 용어 설명 (0) | 2013.09.23 |
"샐러리맨 신화" 강덕수 회장, 일부 만류에도 사퇴 (0) | 2013.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