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금융시장 경색을 풀고자 회사채 신속인수제, 채권 안정펀드 활성화 등 전방위 대책을 최종 조율 중이라고합니다. 이 대책은 최근 크래딧 채권시장에서 외면받고 있는 조선, 해운, 건설 등 취약업종에 대한 지원에 초점을 맞추고있습니다. 흑자를 기록하거나 경기가 좋아질 때 충분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업이 채권시장이나 주식시장에서 자금조달에 실패하여 유동성위기에 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유동성 위기에서 벗어나면 기업은 부도위험이 낮아지고, 투자자는 투자한 채권에 대한 손실 없이 이자 및 원금을 안정적으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 대책의 강도에 따라 고금리 채권 투자에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신속인수제란?
2001년 도입됐던 회사채 신속인수제는 만기 도래 회사채 상환을 위해 기업들이 사모방식으로 회사채를 발행하면 이를 산업은행이 인수해 기업의 상환 리스크를 줄여주는 방식. 산은은 인수한 회사채를 담보로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채권(P-CBO)을 발행해 기관투자자들에게 팔며 신용보증기금이 보증.
채안펀드란?
이 펀드는 2008년 10조원 규모로 처음 조성됐고 회사채 수요를 늘려 우량채 경색을 막는 용도로 사용. 당시 산업은행을 비롯한 은행, 증권사 등이 출자했으며 한국은행도 최대 5조원 수준에서 금융기관의 유동성을 지원.
이 펀드는 채권 시장 안정 이후 1억원 수준의 규모로 명목상으로만 존재하고 있는데 정부가 이번에 재가동을 고려하고 있음. 당시와 같은 최대 10조원 규모가 언급되고 있으나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할 때 이보다 다소 축소될 가능성이 있음.
'8.시장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07/22 채권종류별 수익률 현황 (0) | 2013.07.23 |
---|---|
[매경]채권자 이익 침해한 기업대표 법정관리서 경영권 박탈 (0) | 2013.07.22 |
7월 15일 채권종류별 수익률 현황 (0) | 2013.07.16 |
금융당국 회사채 정상화 방안 (0) | 2013.07.08 |
7월 1일 채권 종류별 수익률 현황 (0) | 2013.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