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회사채 투자 정보

[투자사례]외환은행신종자본증권2

복리의마법 2013. 7. 19. 15:08

증권사에서 HTS를 다운받아 설치한 분이라면 누구든지 "장내채권 매매"를 통해 소액채권거래를 증권선물거래소를 통해 장내매매할 수 있습니다.  또한 증권사 지점에 방문하여 소액이라도 "장외채권매매"를 통해 증권사에서 보유 중인 국채 또는 회사채를 고객이 매수하여 투자 가능합니다.


오늘은 장내에서 거래되는 외환은행신종자본증권2에 대한 투자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발행일: 2009.03.31 

만기일: 2039.03.31

매수일자: 2013.07.19

이표금리: 연 7.30%(3개월 이표 후급), 발행일 부터 10년 이후의 이자는 연 8.30%

장내가격 : 10,295원







이 채권은 30년만기의 신종자본증권으로 장내에서 10,295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만기까지 연 7.30%의 이표를 지급받게되면 세후로 연 6.51%에 달하는 뛰어난 수익률을 누릴 수 있습니다. 세전금리로 환산할 경우 6.51%/(1-15.4%) = 7.70%의 수익을 누릴 수 있는 채권입니다. 은행채로 이렇게 많은 수익을 실현할 수 있는 채권이 있다는 사실이 놀랍습니다. 초저금리 시대에 안정적인 고수익채권이겠죠~




투자원금 = 수량 * 가격 = 485*10,295 = 4,993,075

장내수수료 (0.3%) = 14,979

총투자원금 = 5,008,054


[채권투자시 만기까지 현금흐름1]




하지만, 주의하셔야 할 점이 있습니다!! 


이 채권은 발행 당시에 30년 만기로 발행되었지만, 은행이 5년 뒤에 상환할 수 있는 Option이 붙어있습니다. 은행 입장에서 2009년 당시의 시장금리 7.30%로 본 채권을 발행했지만, 5년뒤에 시장금리가 내려간다면 30년 동안 이 채권을 높은 이자를 부담하며 상환하지 않을까요? 지금 국고30년의 금리는 3.75% 수준으로 외환은행이 30년 만기 채권을 발행한다면 지금 시장금리로 대략 4% 초중반 금리를 형성합니다. 즉, 자금조달하여 이자비용을 투자자에게 지불하고 있는 외환은행 입장에서는 신종자본증권2를 상환하고 새로운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여 3%의 이자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외환은행은 2014-03-31에 옵션을 행사하여 본 채권의 상환을 마무리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렇다면 현금흐름은 아래와 같이 변하겠죠?


투자원금 = 수량 * 가격 = 485*10,295 = 4,993,075

장내수수료 (0.3%) = 14,979

총투자원금 = 5,008,054


[채권투자시 만기까지 현금흐름2]



이 경우 투자수익률은 연 1.98%를 형성하게 됩니다. 따라서 발행시점보다 시장 금리가 많이 낮아진 상황이라면 발행사인 외환은행에서 Call Option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표면금리를 짧은 기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콜옵션 행사가 거의 확실한 시점에서는 장내에서 거래되는 외환은행신종자본증권2의 가격이 지나치게 높게 형성되어있다는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은행채를 투자하신다면 다른 조건의 신종자본증권이나 증권사를 통해 은행채AAA 채권을 사는 것이 더높은 금리에 투자하게 되는 것입니다.


채권의 시장수익률(채권의 가격을 결정하는 할인율)이 7.11%에 거래된다고 잔존만기동안 연 7.11%의 수익을 누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 채권의 수익률은 채권이 만기까지 옵션행사가 되지 않는다고 가정한 수익률이기 때문에 시장호가의 수익률을 맹목적으로 믿고 투자하시면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특히나 국내 장내채권시장은 거래량이 매우 적어 장내가격이 공정한 시장가격을 대표할 수 없습니다.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하니 증권사 창구를 통해 정확한 채권의 가격을 안내받고 장외거래 채권매수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