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회사채 투자 정보

불황 속 해운업계, 정부 지원 언제 이뤄질까?

복리의마법 2014. 2. 3. 17:37
불황 속 해운업계, 정부 지원 언제 이뤄질까?
해운업이 사회 인프라라는 인식 필요
글로벌 경쟁 국가는 국가 차원에서 적극 지원



▲ 현대상선 컨테이너선. ⓒ현대상선

2014년 한달 가까이 지났지만 지난해부터 이어진 해운업계 불황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해운업을 사회 인프라로 인식하고 정부가 적극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해운업계는 돈 될 만한 자산은 모두 내다 팔고 있고 심지어 컨테이너 박스까지 팔아가며 구조조정에 사활을 걸고 있다. 

현대그룹은 지난달 22일 현대증권 등 금융계열사를 매각하고 계열사별 구조조정을 통해 3조3000억원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현대상선은 보유한 항만터미널사업의 일부 지분을 매각하고 벌크 전용선부문의 사업구조를 조정해 약 1조5000억원을 조달할 방침이다.

한진해운은 사실상 한진그룹에 경영권을 넘기고 고강도 구조조정에 나섰다. 대한항공은 최근 가진 경영설명회에서 한진해운의 유상증자에 4000억원 범위 내에서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번 유증 참여로 대한항공은 한진해운홀딩스(36.02%)를 제치고 한진해운의 최대주주가 된다.

해운업계의 불황은 국내만의 문제는 아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해운업은 오랜 침체를 겪고 있다. 그러나 다른 점은 해외 경쟁 국가들은 국가 차원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는 점이다.

중국의 경우 글로벌 컨테이너선 5위 업체인 코스코에 대해 중국 정부가 국책은행을 통해 108억달러 규모의 신용(지급보증)을 제공키로 했다. 약 11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지원금을 쏟아부었다.

코스코는 2011년 13억달러, 지난해엔 10억달러의 손실을 기록한 바 있다. 연간 1조원이 넘는 손실을 2년 연속 기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정부는 과감한 지원을 선택했다.

덴마크정부는 지난해 초 머스크에 5800억원을 조기에 지원했고 독일 최대 해운사 하팍로이드도 지난해 지방정부에서 1조752억원을 지원받았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해운이 국가 기간산업에 해당하는 만큼 정부의 지원 대책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정부가 이미 내놓은 회사채담보부증권(P-CBO) 공급이나 해양금융종합센터 설립은 해운업계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평가다.

신용보증기금은 해운, 조선, 건설 등 취약업종 지원을 위해 P-CBO를 공급하기로 했지만 1차 P-CBO발행에 해운사는 1곳도 선정되지 않았다. 어느 1곳도 심사 과정에서 부채비율, 신용도 등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부는 지난해 선박금융공사 설립 방안을 백지화하는 대신 해양금융종합센터를 설립하기로 했다. 지난해 설립될 것으로 예상됐던 해운보증기금 설립이 미뤄진 상황에서 업계의 믿음을 땅에 떨어진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직접 지원을 하지 않더라고 해운업계를 살리겠다는 의지라도 표명해줬으면 좋겠다”며 “조선업계의 경우 정부가 수천억원씩 지원을 아끼지 않으면서 경제효과와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해운업에 대해선 지원이 없다”고 비판했다.[데일리안 = 최용민 기자]